보육교사의 급여는 크게 기본급과 수당으로 나뉘는데, 기본급은 매년 발표되는 '보육교사 인건비 지급기준(호봉표)'에 따라 근속연수별로 차등 지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. 기본급 외에 지급되는 각종 수당도 있는데, 대표적인 수당은 담임수당(영아반/유아반)과 처우개선비입니다. 먼저 기본급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# 2023년 보육교직원 호봉
2023년 보육교사 호봉은 매년 원장, 보육교사, 조리원별로 월지급액과 보수총액을 구분하여 발표합니다. 여기서 월지급액은 매달 지급되는 월급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, 여기에는 수당이 포함되지 않았으며, 세전 금액이기 때문에 실수령액으로 착각하시면 안됩니다. 즉, 호봉표에 명시되어 있는 금액은 법정부담금(4대 보험)을 제외하지 않고 산정된 보수이며, 수당 등이 제외한 수당입니다. 정확한 보육교사의 실수령액 계산을 하려면 [기본급 + 수당(담임수당, 처우개선비 등)]에서 법정부담금을 제외해야 하는 것이죠.
보육교사의 호봉은 30호봉까지 있으며, 경력이 쌓일 수록 호봉이 올라가게 됩니다. 매년 급여는 약 15% 정도 인상이 되는 꾸준하게 처우 개선이 되고 있습니다. 정확한 급여를 알고 계시고 싶으시면, 아래 이미지 링크를 클릭하셔서,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급여 모의 계산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!
# 기타수당
보육교사의 수당은 '국가에서 지원하는 수당'과 '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수당'으로 구분됩니다. 국가에서 지원하는 수당은 '담임수당', '농어촌수당', '특수근무수당' 등이 있습니다. 지자체에서 지원되는 수당은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보통 '처우개선비', '명절수당', '교통비', '복리후생비' 등이 있습니다.
<국가지원 수당>
※ 담임수당 - 영아반 담임(만 0세 ~ 만 2세) : 월 26만원 - 유아반 담임(만 3세 ~ 만 5세) : 월 36만원 ※ 특수근무수당 - 영아전담수당 : 영아반 담당 시 5만원, 3년 이상 경력이 쌓이면 심화과정 이수 후 3만원 추가 - 장애전담수당 : 장애아반 담당 시 10만원 |
담임수당은 또 '영아반 담임'과 '유아반 담임'으로 나뉘는데요. 영아반은 만 0세~ 만 2세으로 영아반 담임 보육교사는 월 26만원, 유아반은 만 3세 ~ 만 5세로 유아반 담임은 월 36만원을 받습니다.
그리고 특수근무수당 중 영아전담수당은 영아반 담당 시 5만원, 3년 이상 경력이 쌓이면 심화과정 이수 후 3만원이 추가됩니다. 장애전담수당은 장애아반 담당 시 추가로 10만원 지급되는 수당입니다.
농어촌수당은 농어촌 지역으로 분류된 곳에 있는 어린이집에 담임으로 근무 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. 매월 특별근무수당으로 11만원이 지급되나, 정확한 것은 관할 시, 군, 구청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<지자체 지원 수당>
이 외에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수당은 지자체마다 금액이 다르고, 일부 지역에서는 장기근속수당, 명절수당, 복리후생비, 근로수당 등을 지급하는데, 이 역시도 정확한 것은 관할 시, 구청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.
이 중 처우개선비는 서울시 기준으로 국공립 어린이집은 145,000원이며, 민간은 200,000원 정도라고 합니다.
'사회, 정치 > 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총 정리] 2023 군인월급 - 월 200만원 공약 실현 가능할까? (0) | 2022.06.29 |
---|---|
[총 정리] 2022 근로장려금 지급일, 신청방법, 자격요건 등 (1) | 2022.05.06 |
[코로나19] 한국 백신 접종률, 국가별 백신 접종률 등 코로나19 백신접종률 총 현황 (0) | 2021.06.20 |
[총 정리] 2021년 대체공휴일 확대 추진(8월 광복절부터 시행 예정!) (0) | 2021.06.08 |
[총 정리] 2021년 기초생활수급비 인상!(신청자격 및 지원금액 등) (0) | 2021.05.03 |
댓글